본문 바로가기

농사관련 정보/자립하는 삶16

[스크랩] 二般界 사랑으로 분노를, 따뜻한 마음으로 악을, 그리고 생각이 만든 의미를, 또한 진실로 거짓을 잠재워라. -부처- 二般界 1. 당신이 곧 세상이다. 당신과 세상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당신 몸속의 세포들이 당신을 기준으로 하나이듯이 당신은 지구를 기준으로 하나이고 우주를 기준으로 하나.. 2018. 5. 24.
[스크랩] 장성 자연양계농장 방문 귀농귀촌 하는 사람들이 하나둘 염원하던 집을 짓고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이 보입니다. 젊은 사람들 특히나 어린자녀가 있는 가정은 기본적 생게유지를 위한 소득은 필수적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자연농을 하면서 농사로서 소득을 올리는것은 어려운 실정입니.. 2018. 1. 30.
[스크랩] 내비도표 생태화장실 입니다.. 생태화장실 관심있는분 참고하시라고 올려드립니다..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앵글로 와꾸(?)를 짜고 거기에 대나무를 붙이고, 지붕은 판넬입니다. 주변에 나무가 많으면 나무로 하면 더 좋을것입니다.. 태풍에 날리지 않도록 바닥을 잘 고정해야 합니다. 참고로 통나무로 와꾸를 만든다면 .. 2017. 4. 26.
자연농의 외길(내소원자료) 농사에는 노동이 있을 뿐 이윤이 없습니다. 노동에 대한 보상이 열매이고, 그 열매만이 수입일 뿐입니다. 인건비라고 부르는 노동의 댓가만 있을 뿐 이윤은 없습니다. 이윤은 여러 단계를 거치는 유통 부분에서 발생하는 것이고 이 유통 단계에서 농산물 가격이 결정됩니다. 그러나 오늘.. 2017. 3. 8.
농(農)의 마음(내소원) 농사는 농(農)의 마음으로 지어야 합니다. 농사는 생명을 기르는 업이므로 농의 마음은 생명을 사랑하고 보살피는 마음입니다. 식물이든 동물이든 그 생명을 존중하고 사랑하여 귀하게 키워 뭇 사람들이 그 귀한 생명을 먹고 건강하게 목숨을 이어가게 해야 합니다. 농부는 농(農)의 마음.. 2017. 3. 8.
왜 자연농사를 해야하는가? 1. 관행 및 유기농산물이 건강에 이롭지 못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2. 어떠한 농산물이 우리의 건강에 좋은것인가 ? 3. 그러한 농산물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 토양과 농사법) 4. 패밀리푸드 운동을 해야한다(판매를 떠나 농법을 교육하고 공유하는 운동) 5. 건강운동, 환경운동이다. 2017. 3. 8.
[스크랩] 블랙커피 출처 : 내비도농장글쓴이 : 내비도 원글보기메모 : 2017. 3. 7.
[스크랩] 전라씨드림모임 1박2일 결산보고 2-300명이 모였던 전라씨드림 행사가 이번에는 광주지역 및 전국농민들이 지역에서 대보름 행사가 겹친데가 남부지방의 폭설로 인해 130여명이 좀 넘은 인원이 모였습니다. 하지만 그 어느 때보다, 사전준비가 멋지게 되었고, 참가자들이 '진정한' 토종의 삶과 철학에 녹아든 분들이 참여해.. 2017. 3. 7.
[스크랩] (책임증식) 새다마금벼, 토종옥수수 책임증식 종자를 채종이 쉬운것부터 시작하여 매년 한두개씩 늘려갈 예정입니다. 금년에는 새다마금벼와 옥수수를 선택했습니다. 2016년 전라씨드림때 한원식선생님께서 나눔하신 종자를 가져와 심게 되었으며, 미질이 아주 좋다고 하는데 소량이라 방아를 찧지 못하여 아직 먹어보진 .. 2017. 3. 7.
[스크랩] 당신은 치유 됩니다. 당신의 생각이 최고의 치유제입니다. 병도 마음에서 시작되고, 치유도 마음에서 시작됩니다. 당신의 몸은 자동차이고, 자동차의 연료는 효소이구요, 그 자동차의 운전자는 당신의 생각입니다. 또한 생각의 에너지 또한 효소입니다. 당신은 치유됩니다. 당신은 회복됩니다. 당신은 건강합.. 2017. 3. 7.
[스크랩] 걱정도 팔자이십니다. 걱정이 되십니까 ? 죽을까 봐 걱정되십니까 ? 걱정도 팔자이십니다. 죽으면 또 어떠합니까 ? 어차피 계속 살 것도 아니면서요. 괜한 걱정 사서 하지 마세요. 죽으면 죽는 것이지... 뭐가 그리 두려우신가요 ? 태어날 때....죽을 걱정하고 오셨나요 ? 끝이라서요 ? 아님 지옥이라도 있을까봐요.. 2017. 3. 7.
[스크랩] 우리를 항상 따라다니는 질문..왜~? 얼마전 오랫동안 자연농사를 하고있는 인근 변산의 "신비원"에서 모임이 있었습니다. 모인사람들은 3~40대 젊은 사람들이 대부분 이었습니다. 여러가지 의미있는 농사예기와 토론이 있었으나 명확하게 해결되지 않는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가장 원초적인 질문입니다.. 왜? 우리는 자연농.. 2017. 3. 7.